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건설공사 표준품셈에 따른 건설기계의 시간당 사용료와 1일 사용료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에서는 물가상승과 장비 성능 향상 등을 반영하여 일부 장비의 사용료가 조정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핵심요약
- 대부분의 건설기계 사용료가 전년 대비 약 3~5% 인상되었습니다.
- 장비 규격과 용도에 따라 세분화된 사용료 체계가 적용되었습니다.
- 1일 사용료는 시간당 사용료에 8시간을 곱한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주요 건설기계 시간당 및 1일 사용료
2025년 주요 건설기계의 시간당 사용료와 1일 사용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비명 | 규격 | 시간당 사용료(원) | 1일 사용료(원) |
---|---|---|---|
불도저 | 32ton | 176,516 | 1,412,128 |
굴착기 | 1.0㎥ | 125,215 | 1,001,720 |
로더 | 1.72㎥ | 107,000 | 856,000 |
덤프트럭 | 15ton | 114,360 | 914,880 |
크레인 | 50ton | 289,990 | 2,319,920 |
이번 개정으로 주요 장비의 사용료가 소폭 상승했으며, 1일 사용료는 시간당 사용료의 8배로 계산됩니다.
장비별 상세 사용료
굴착기 (무한궤도, 버킷 작업)
굴착기는 토공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장비로, 버킷 용량에 따라 사용료가 다릅니다.
- 0.2㎥: 시간당 85,543원, 하루 사용료 684,344원
- 0.4㎥: 시간당 97,311원, 하루 사용료 778,488원
- 0.6㎥: 시간당 103,402원, 하루 사용료 827,216원
- 0.8㎥: 시간당 115,604원, 하루 사용료 924,832원
- 1.0㎥: 시간당 125,215원, 하루 사용료 1,001,720원
로더 (타이어형)
로더는 토사나 자재를 옮기는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 0.25㎥: 시간당 76,687원, 하루 사용료 613,496원
- 0.57㎥: 시간당 78,069원, 하루 사용료 624,552원
- 0.95㎥: 시간당 85,586원, 하루 사용료 684,688원
- 1.34㎥: 시간당 97,577원, 하루 사용료 780,616원
- 1.72㎥: 시간당 107,000원, 하루 사용료 856,000원
불도저
불도저는 대규모 토공 작업에서 지반 정리와 흙을 밀어내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 32ton: 시간당 176,516원, 하루 사용료 1,412,128원
덤프트럭
덤프트럭은 토사 및 자재를 운반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15ton: 시간당 114,360원, 하루 사용료 914,880원
- 25ton: 시간당 126,000원, 하루 사용료 1,008,000원
크레인
크레인은 중량물 이동 및 설치 작업에 사용됩니다. 톤수에 따라 요금이 다릅니다.
- 50ton: 시간당 289,990원, 하루 사용료 2,319,920원
모터 그레이더
모터 그레이더는 도로 정리 및 평탄화 작업에 유용합니다.
- 3.7m: 시간당 124,453원, 하루 사용료 995,624원
롤러 (진동형)
롤러는 도로 및 기초 공사에서 다짐 작업에 사용됩니다.
- 15ton (진동형): 시간당 91,234원, 하루 사용료 729,872원
타이어 롤러
타이어 롤러는 도로 다짐 작업에 최적화된 장비입니다.
- 시간당 95,432원, 하루 사용료 763,456원
아스팔트 피니셔
아스팔트 포장 작업에 특화된 장비입니다.
- 폭 3~9m: 시간당 255,432원, 하루 사용료 2,043,456원
콘크리트 믹서트럭
콘크리트 혼합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됩니다.
- 6㎥ 용량: 시간당 108,765원, 하루 사용료 870,120원
콘크리트 펌프카
콘크리트를 높은 곳이나 먼 거리로 펌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 출력 170㎥/hr: 시간당 278,901원, 하루 사용료 2,231,208원
천공기
천공기는 지반 공사에서 구멍을 뚫는 데 사용됩니다.
- 천공경 150mm: 시간당 198,543원, 하루 사용료 1,588,344원
항타 및 항발기
항타 및 항발기는 말뚝을 박거나 뽑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 디젤해머 (5ton): 시간당 312,678원, 하루 사용료 2,501,424원
리퍼 (유압식)
리퍼는 딱딱한 지반이나 암반을 파쇄하는 데 주로 활용됩니다.
- 유압식 리퍼: 시간당 162,345원, 하루 사용료 1,298,760원
트랜처
트랜처는 좁고 깊은 구멍을 빠르게 파는 데 적합합니다.
- 작업 기준: 시간당 145,678원, 하루 사용료 1,165,424원
스크레이퍼
스크레이퍼는 대규모 흙 이동 작업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됩니다.
- 작업 기준: 시간당 203,456원, 하루 사용료 1,627,648원
사용료 산정 기준
건설기계 사용료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 감가상각비: 장비의 내용연수와 잔존가치를 고려하여 계산
- 정비비: 장비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
- 연료비: 시간당 평균 연료 소비량 기준
- 윤활유비: 연료비의 일정 비율로 계산
- 운전원 급여: 해당 장비 운전에 필요한 인건비
1일 사용료는 시간당 사용료에 8시간을 곱하여 산정되며, 장기 사용 시 별도의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
2025년 건설기계 사용료 개정은 건설 현장의 변화와 기술 발전을 반영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시간당 사용료와 1일 사용료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공사 비용 관리의 핵심입니다. 건설 업체들은 이번 개정 내용을 숙지하고, 현장 상황에 맞는 최적의 장비 선택과 비용 관리를 통해 공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일 사용료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1일 사용료는 시간당 사용료에 8시간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시간당 사용료가 100,000원인 장비의 1일 사용료는 800,000원입니다.
장기 사용 시 할인이 적용되나요?
네, 장기 사용 시 별도의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할인율은 장비 종류, 사용 기간, 계약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에 협의가 필요합니다.
주말이나 공휴일 사용 시 할증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주말이나 공휴일 사용 시 별도의 할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할증률은 보통 30~50% 수준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계약 시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들
덤프트럭 임대료 비용 │ 품셈 기준 일일 사용료 및 절감 전략
여행보험 비교 카카오페이 vs 마이뱅크 │ 특징 │ 장단점 │ 선택 팁